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범용기 제5권] (113) 요꼬하마에 - 3S의 나라

[범용기 제5] (113) 요꼬하마에 - 3S의 나라

 

1945815, 해방 직후의 일이었다. 나는 1932년 만주사변 발발 때[1] 귀국해서 13년 동안 미국과의 교류가 두절된 대로 살아왔다. ‘일제쇄국주의보자기 속에 포장되어, 국한된 공간의 오염공기를 얻어 마시면서 목숨을 이었던 것이다. ‘에 던져진 물고기의 헐덕이는 숨가뿜이었던 것 같다.

815 해방의 소식은 하늘의 기적같았다. 그래서 미국을 다시 봤다. ‘메이플라워의 청교도를 생각했다. 그래서 제국을 실은 일엽편주라는 단문을 썼다. 나보다 훨씬 후에 미국서 귀국한 젊은 친구들이 말한다.

그건 현재의 미국이 아닙니다.”

나는 미국에 대한 잡지, 신문, 까십, 기행문 등등을 주워 읽었다.

“3S”란 얘기도 들었다. 전후의 미국은 Speed, Sports, Sex수몰지대가 됐다는 것이다. Speed는 무자비한 경쟁의 달음박질이다. ‘소련을 앞질러 뛰어야 한다.

Sports는 왕성한 체력의 분화구.

용감하고 정의롭게 싸우는 행진이다. Sex는 인간해방의 용단이다. 남ㆍ녀 관계의 윤리, 새 자유가 절규한다. 배고픈 사람이 밥먹고 목마른 사람이 물마시고 타오르는 이성연모에 Body로 말하는 것이 왜 잘못이냐는 것이었다.

피임이 확률적이고 생활경제가 독립이니 후환도 대단치 않다. “북구에서 중구에서, 그리고 미국에서, ‘일본에로 “Speedy”하게 퍼진다. 그래서 “3S”란 공식이 생겨났다. 그러나 그것은 Sorokin[2]이 말한 Sensual Civilization이어서 동물의 경우에서보다도 더 극성이다. 동물은 생식을 위한 수태수단으로만 허용되지만, 인간에게는 거의 무한궤도같이 연속되는 자유향락이다.

그래서 나는 딴 의미에서의 3S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Spirituality, Sincerity, Simplicity“3S”라고 할까요? 기독교회가 좀더 적극적으로 이 메시지를 외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크리스찬 가정이 누룩소금노릇을 해야 한다고 절감했다. 북구의 교회들이 너무 무기력하다고도 해 봤다.

그러나 마이동풍[3]이랄까? “우리 다 생각이 있어요! 그건 내 Private Life예요

여기서도 율법주의적으로서는 안될 노릇이었다. 더 높은 차원에서의 복음적인 의미가 체득되어야 할 것이라 느꼈다. 교회에서의 결혼서약은 엄숙하다. 어떤 경우에서도 사랑하고 돕겠느냐 한다. 사랑은 영원하다. 영원해야 한다. 부부사랑은 인격적이다. 그것은 Romance만이 아니다. 의지적인 육성에서만 항구하고 성숙한다. “사랑이 없어도 의리로 성숙한다(1945.9).

 

[각주]

  1. 만주사변은 19319월 일본군이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을 침략한 전쟁으로 이후 중일전쟁의 발단이 되었다.
  2. 피티림 소로킨(Pitirim Alexandrovich Sorokin, 1889.1.21~1968.2.10)은 러시아 북부 투리아 코미 출신의 미국 사회학자이다. 러시아의 11월 혁명 이후 케렌스키파라고 하여 사형선고가 내려졌으나, 구명운동으로 1923년 국외 추방령에 의해 미국으로 건너가 1930년에 미국 시민으로 귀화하였다. 미국인들의 성적 집착이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릴 경우 혼외출산과 이혼 및 동성애에 대한 역사적인 배척 풍조는 급격히 변할 것이라고 예언한 사회학자이다.
  3. 마이동풍(馬耳東風) - 말의 귀에 동풍이 불어도 말은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말에 귀기울이지 않고 그냥 지나쳐 흘려 버림을 이르는 말. 이백(李白)의 시에서 따온 말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