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2월 22일 월요일

[낙수] - 序(서)

모압여자 룯이 나오미의게 일르되 나로 밭에 가서 뉘목전에 은혜를 닙으면 그를 딸아 이삭을 줍게 하소서(22)[1]

 

룯이 이삭을 주으러 이러날 때에 보아스가 그 소년에게 명하여 가라대 곡식단 사이에서 주을지라도 뎌를 부끄럽게 하지말고 또한 뎌를 위하여 줌에서 조곰식 뽑아 버려 줍게하고 꾸짓지 말나하더라(215,16)[2]

 

예수 제자다려 일아사대 남은 부스럭이를 거두고 내여 버리지 말나(요한 612)[3]

 

 

()

 

昭和八年(소화8)[4] 以來(이래) 일부러 文書(문서)發表(발표)하려는 慾求(욕구)計劃(계획)이 있은 것은 아니나 刊行(간행)責任(책임)게신 親舊(친구)들의 때때의 要求(요구)拒絶(거절)하기 어려워서 臨時臨時(임시임시) 붓을 들어 誌上(지상)發表(발표)한 것이 있었는데 愛讀(애독)해주시는 분들이 게시단 말슴[5]을 들을 때마다 悚懼(송구)感謝(감사)不禁(불금)[6]하였었다.

그러나 이런 것을 다시 모아 單行本(단행본)으로 낼 생각은 勿論(물론) 秋毫(추호)도 없었던 것이다. 그러던 () 敎文社(교문사)崔仁化(최인화)[7] ()가 이 發表(발표)된 글들 중 얼마를 다시 淨寫(정사)[8]하여 가지고 와서 刊行(간행)()하기에 처음 몇 번 拒絶(거절)하였었으나 그래도 多少(다소) 有益(유익)을 끼칠런가하여 ()하는대로 다시 世上(세상)에 보내기로 한 것이다. 너무 큰 期待(기대)를 가지지 마시고 雜誌(잡지) 읽으시는 셈치고 읽어주시면 信仰(신앙)에 뜻두시는 靑年諸君(청년제군)께는 多少(다소)의 도움이 있을가한다. 寂寥(적료)[9] 朝鮮基督敎界(조선기독교계)出版事業(출판사업)()하여 銳意精進(예의정진)하는 敎文社(교문사)와 및 敎文(교문)主筆(주필) 崔仁化(최인화) ()誠意(성의)感謝(감사)한다. 이것이 진실로 秋收(추수)밭에 떨어진 이삭이오 五餠二魚(오병이어)의 남은 부스럭이에 지나지 않지만 버리지 말라는 것이 ()命令(명령)이시니 그대로 上梓(상재)[10]하기로 하는 것이다.

 

著者(저자)


[각주]

  1. 모압 여인 룻이 나오미에게 이르되 원하건대 내가 밭으로 가서 내가 누구에게 은혜를 입으면 그를 따라서 이삭을 줍겠나이다 하니 나오미가 그에게 이르되 내 딸아 갈지어다 하매”(개역개정, 룻기 2:2)
  2. 룻이 이삭을 주우러 일어날 때에 보아스가 자기 소년들에게 명령하여 이르되 그에게 곡식 단 사이에서 줍게 하고 책망하지 말며 또 그를 위하여 곡식 다발에서 조금씩 뽑아 버려서 그에게 줍게 하고 꾸짖지 말라 하니라”(개역개정, 룻기 2:15,16)
  3. 그들이 배부른 후에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시되 남은 조각을 거두고 버리는 것이 없게 하라 하시므로”(개역개정, 요한복음 6:12)
  4. 서기 1933
  5. 말슴 - ‘말씀의 방언
  6. 不禁(불금) - 금하거나 말리지 않음
  7. 최인화(1910~1940) : 1910년 평양에서 출생했다. 국민학교 교사와 조선주일학교연합회 간사로 다년간 일했고, 전국을 순회하면서 동화 구연을 하는 구연(口演)동화가로서 활동했다. 1936년에 아동잡지 아동을 창간하여 주필 겸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1940년 김병옥(金秉玉)ㆍ임홍은(林洪恩) 등과 교문사를 설립하였으며, 서울 공덕정 교회 장로로 활동했다. 1943년 별세하였다.
  8. 淨寫(정사) - 초를 잡았던 글을 깨끗이 옮겨 씀
  9. 적료하다 - ‘외롭고 공허하다
  10. 上梓(상재) - 가래나무 목판에 올린다는 뜻으로, 출판하기 위하여 책을 인쇄에 부치는 것을 이르는 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