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25일 목요일

[범용기 제5권] (87) 요꼬하마에 - 다시 대판으로

[범용기 제5] (87) 요꼬하마에 - 다시 대판으로

- 대판성의 인상 -

 

오오사까”(大阪)에 갔다.

김덕성 목사 교회당 객실에 자리잡았다. 이 교회당도 다목적적인 건물이다.

교포의 생활 거점(據點)이다.

그 교회 청년인 김성원 님 안내로 대판성[1]을 구경했다.

역시 풍신수길[2]의 작품인데 서양식 성보(城堡)에 동양식 성루(城樓)5층으로 얹어놓은 높이 약 390척의 대작이다.

축성법도 한국이나 중국 것과 같지 않다. 관서 평야에는 돌도 흔한 축이 아닌데 그 집채만한 바위들을 어떻게 까서 실어왔는지 생각하면 상식 밖이다.

결국 서민들의 피땀으로 이루어진 해골의 기념탑이다.

성 바깥을 둘러 판 해자”()도 깊고 넓고 맑다. 성 안에도 작은 규모의 내호(內濠)들이 있다.

풍신수길은 왜 이렇게 성 쌓기와 해자 파기에 신경을 썼을까? 역시 독재자인 그 자신의 불안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 섬나라에 밖으로부터 딴 나라가 쳐들어와 대판까지 침입할 것을 걱정했다기보다도 불평 있는 다이묘오들이 무서웠던 것이 아닐까?

그래서 성루()로서 위신을 과시하고 성채로서 실력을 보인 것이 아닐까?

우리는 잠시 해자 가에 서 있었다.

꽤 큰 고기들이 모여 온다.

색깔 다른 잉어 떼가 모이를 찾아 사람 앞에 모인다. 오리도, 기러기도, 원앙도, 그리고 백조들도 모인다.

이건 풍신수길이 거처하던 궁궐이다.

굵직굵직한 부하들을 불러 회의하는 오오히로마 大廣間(대광간)도 있다. 때로 임군의 칙사(勅使)가 나오는 경우에도 단위에 히데요시(豊臣)가 두툼한, 황금빛 방석 위에 앉아 어깨를 잔뜩 재고 도사려 앉는다. 칙사는 단 아래 꿇어 앉아 두 손 모아 칙서함을 올린다. 왕권만 찾아내 쓰고 왕위(王位)는 긴급용을 신탁(信託)해 둔 그의 전략도 참고가 될 거다.

나오는 길에 종묘(宗廟) 비슷한 방에 모셔진 그의 초상화를 보았다. 얼굴 생갬새는 전형적인 왜형(倭形)이다. 미남도, 호남(好男), 젊잖은 왕자풍(王者風)도 찾아볼 구석()이 없다. 그러나 괴외[3]하여 접근하기 무섭다. 괴상하고 험상스럽다.

나는 언제였던가 서울 국립박물관에서 태조대왕 이성계의 초상화를 본 일이 있다. 그의 얼굴도 괴상하고 험상스러우나 감히 범할 수 없는 위엄이 담겨있음을 느꼈다. 비슷한 인상을 풍신수길에서 받은 셈이다.

풍신의 키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 수 없다. 작달막했다는 게 전해지는 말이다. 앉은키는 남과 다를 게 없었겠지!

그래도 뱃장은 커서 아예 중원을 먹는다고 임진란을 일으켰다.

우리나라에는 길만 빌려달라는 요청이었다 한다. 그리하여 상륙만 제대로 하면 두 달 안에 우리나라를 먹고 연방 북경을 먹고 천황을 북경 궁궐에 옮겨 모시고 자기는 양자강 이남까지 급진(急進)하여 남부지방을 평정하고 거기에 대장군 막부를 세워 치안을 확보한다는 계획이었단다. ‘을 빌린다는 것은 갈 때 못 먹으면 올 때 먹겠다는 수작이니까, 호락호락 길 내줄 나라는 없을 것이다. 어쨌든 이 충무공의 제해권 확보 때문에 계획은 다 틀려버렸다. ‘풍신의 그런 흉계를 명나라가 몰랐을 리 없다. 자칫 하다가는 자기 나라 안에서 싸우게 될 테니, 이참에 변방, 요샛말로 위성국가를 돕는다는 명분있는출병을 해야 한다고 대군을 동원했다. 그 동안에 풍신수길과 덕천(德川家康)의 권력싸움이 내란으로 번져서 몽땅 철군하고 말았다.[4]

풍신의 작품인 대판성을 보면 그의 그런 뱃장도 짐작이 간다. 국민의 절반이 강제노동에 징용됐단다. 진시황의 만리장성은 국경 전체를 둘러막는 식이었는데 풍신대판성은 서양의 보루(Citadel)격이다. 한 고립된 요새(要塞). 성 모퉁이 돌들은 집체만씩이나 한 외바위 덩어리인데 평야에는 그런 바위가 없었을 것이고 결국 죽어난 건 농민, 졸개, 천민들이었을 게 분명하다. 만 사람의 마른 뼈 위에 한 장군의 영화(榮華)가 좌정한다. 하여튼 명치 혁명의 성공과 아울러 풍신의 궁궐은 이궁(離宮)[5]으로 등록됐다. 그리고 지금은 공개된 박물관으로 변했다.

우리는 그 근처에서 점심을 먹고 대판교회에 돌아왔다.

 

[각주]

  1. 오사카 성(일본어: 大坂城, 大阪城)은 셋쓰 국 히가시나리 군 오사카에 있었던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의 성이다. 다른 이름은 긴조(金城) 혹은 긴조(錦城), 과거에는 오사카(大坂)가 근대에 와서 오사카(大阪)로 표기하도록 개정되었기 때문에, 현재에는 오사카(大阪)라고 많이 표기하고 있다. , 과거에는 오자카라고 읽었지만, 현재에는 오사카로 많이 읽힌다. 도요토미 정권의 본성으로 있었지만, 오사카 전투에서 소실되었다. 그리고 그 후, 에도 시대에 재건을 해 에도 막부의 서일본 지배의 거점으로 삼았다. 성이 있는 곳은 현재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의 오사카조 공원 (大阪城公園)이다. 구마모토 성, 나고야 성과 더불어 일본 3대 명성중 하나이다.
  2.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1537~1598)는 일본 전국시대에 활약했던 무장, 정치가이며 다이묘이다.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와 함께 전국 3영걸로 불린다. 또한 임진왜란을 일으킨 장본인이기도 하다. 그는 도요토미라는 성을 하사받기 이전에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그 자신의 가신(家臣)이기도 했던 일본의 무장인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의 어머니인 이토(伊藤)는 히데요시의 6촌 여동생이다.
  3. 괴외 - ‘고요의 옛말
  4. 왜군의 철군은 풍신수길의 죽음 이후에 진행된 것이고, 이후 풍신수길의 신하들과 덕천가강의 대결이 진행된다.
  5. 이궁(離宮) - 임금이 궁중 밖으로 나들이할 때 머무는 곳을 이르던 말

댓글 없음:

댓글 쓰기